|
" 문제 "
" 아이디어 "
2가지 과정을 거쳐서 문제를 풀 수 있다.
1. 인접한 두 사탕을 교환한다. (★연속부분 구한 후 원위치) - N^2
행과 열이 N개인 배열에서 임의의 원소 한개를 선택하고 그 원소의 오른쪽 원소, 그리고 아래쪽 원소와 교환한다. (시간복잡도 : N^2)
(왼쪽과 위쪽은 중복이 발생하므로 교환하지 않는다.)
2. 가장 긴 연속부분 (행 또는 열) 을 구한다.
원래 모든 행, 열을 조사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중복을 조금 줄여보자.
a[i][j] 와 a[i+1][j] 의 원소를 교환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실질적으로 연속부분이 변화하는 부분은 총 3줄이다.
i 번째 행, i + 1 번째 행, 그리고 j 번째 열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3줄의 연속부분만 구해보면 된다.
" 코드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def check(a, s_row, e_row, s_col, e_col):
n = len(a)
result = 1
# 행 체크
for i in range(s_row, e_row+1):
cnt = 1
for j in range(1, n):
if a[i][j-1] == a[i][j]:
cnt += 1
else:
cnt = 1
if cnt > result:
result = cnt
# 열 체크
for i in range(s_col, e_col+1):
cnt = 1
for j in range(1, n):
if a[j-1][i] == a[j][i]:
cnt += 1
else:
cnt = 1
if cnt > result:
result = cnt
return result
n = int(input())
a = [list(input()) for _ in range(n)]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j < n-1:
a[i][j], a[i][j+1] = a[i][j+1], a[i][j] # 좌우교환
temp = check(a, i, i, j, j+1) # 연속부분 체크
if temp > result:
result = temp
a[i][j], a[i][j+1] = a[i][j+1], a[i][j] # 원위치
if i < n-1:
a[i][j], a[i+1][j] = a[i+1][j], a[i][j] # 상하교환
temp = check(a, i, i+1, j, j) # 연속부분 체크
if temp > result:
result = temp
a[i][j], a[i+1][j] = a[i+1][j], a[i][j] # 원위치
print(result)
|
cs |
" 참고자료 "
반응형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aekjoon : python ] 백준 11726 2xn 타일링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0) | 2021.02.20 |
---|---|
[ Baekjoon : python ] 백준 2021 1로 만들기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재귀호출) (0) | 2021.02.20 |
[ Baekjoon : python ] 백준 10866 덱 Deck - 파이썬으로 덱 구현하기 (0) | 2021.01.03 |
[ Baekjoon : python ] 백준 10828번 스택 - 파이썬으로 스택 구현하기 (0) | 2021.01.03 |
[ Baekjoon : python ] 백준 15552번 빠른 A+B ( input() vs sys.stdin.readline())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