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emory Layout
위 그림은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이다간혹 주소 0번지가 가장 위에 표현되어서 스택이 아래에 있는 자료도 있는데,개인적으로, '스택이 아래로 자란다' 라는 표현 때문에 (높은주소->낮은주소) 를 의미해서 그림에서도 위에서 아래로 자라는 표현 방식이 더 직관적으로 와닿았다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각 프로세스는 독립된 5개의 메모리 공간(세그먼트)을 할당받는다이 메모리 공간은 각각 목적에 따라 여러 영역으로 나뉜다 각 영역은 높은 주소부터 차례로스택, 힙, BSS, 데이터, 코드 세그먼트로 나뉜다'낮은 주소(코드) 에서 가장 높은 주소(스택) 로 갈수록 휘발성이 강하다' 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좋다 왜 나누냐면, 용도에 맞게 각 영역에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 (rwx)CPU 는 각 영역의 권한에 맞는 행위만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