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명령을 실행해보았다.
예전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며 실습해본 적 있지만, 다시 한줄씩 봐가며 복기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본다.
1. 무선 LAN 어댑터 Wi-Fi
유선 LAN cable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스크탑 PC이라면 상단에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 이라고 떠야 했지만,
나는 Wi-Fi로 무선 접속중인 노트북으로 테스트했으므로 '무선 LAN 어댑터 Wi-Fi' 라는 결과가 나왔다.
유선이든 무선이든 이더넷(Ethernet) 통신이라는 점은 같다. 이더넷은 LAN영역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이더넷 어댑터란 이더넷 방식에서 사용하는 NIC(Network Interface Controler) 를 의미한다. 즉, LAN 카드이다.
무선 LAN 어댑터도 마찬가지다. Wi-Fi 환경에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요즘 노트북에는 기본으로 무선 LAN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간혹 데스크탑이나 구형 노트북에서 무선접속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와이파이 동글이도 같은 장치이다.
2. 연결별 DNS 접미사
내 기억이 맞다면 예전 실습때에는 배우지 않고 넘어갔었는지 초면이다.
구글링을 해보니 MS 커뮤니티의 질문글 을 찾을 수 있었다. MS측의 답변을 참고하니 도움이 되었다.
접미사라는 단어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우저나 cmd 창에 domain 주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접미사(suffix) 를 붙여 인식하는 것이다. DNS이름 등록/확인에 사용되는데 개인PC에서는 따로 신경쓸 필요 없다.
3. 링크-로컬 IPv6 주소
여기서 링크(Link) 란 허브로 연결된 영역을 의미한다.
링크-로컬 주소라는 단어 의미 그대로 라우터(Router)를 통과하지 않는 내부의 독립된 서브넷(Subnet)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이다. 제어메시지(ICMP를 의미하는듯) 를 교환할 때 주로 사용한다.
독립된 서브넷내에서만 사용하므로 해당 서브넷에서만 유일(identical)하면 된다!
만약 라우터에 서브넷 내에 다른 링크-로컬 목적지 주소를 가진 패킷이 들어온다면, 이를 그대로 폐기한다.
4. IPv4 주소
가장 친숙하지만 중요한 개념이다. 인터넷에서 PC를 유일히 구별하는 32비트짜리 식별자 개념이다. 네트워크 통신에서 출발지 IP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내 노트북의 IP주소는 172.x.1.49 이다.
IP주소의 첫번째 자리(172) 로 IP 주소의 클래스를 알 수 있다.
IP주소의 클래스는 A~E가 있는데, 내 노트북의 경우는 172이니까 class B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구분 | IP 주소의 첫번째 자리 |
class A | 1~126 |
class B | 128~191 |
class C | 192~223 |
여기서 class A와 class B 사이에 127번이 왜 비어있는가 의문이 드는데
127로 시작하는 IP주소는 일반적으로 127.0.0.1 번으로 사용하는 루프백 주소(Loobback address) 이다.
즉, 자신이 사용하는 LAN카드 자신이다.
5.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쌍으로 붙어다닌다.
처음 IPv4 를 클래스로 크게크게 나누어 사용하기가 좀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어서 생긴 것이 서브넷 개념이다. (만약 클래스 B를 어떤 작은 기업에 할당했다고 가정했을 때 이 기업이 클래스 B의 IP 65000여개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건 IP주소의 낭비라고 볼 수 있다.)
서브넷으로 IP주소를 더 잘게잘게 나누어서 효율적으로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서브넷에 대한 개념은 나중에 별도로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IP주소에서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할 수 있다.
내 노트북을 예로 들면
IP주소는 172.x.1.49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다.
여기서 255에 대응하는 부분 (172.x.1) 이 Network ID이고 0에 대응하는 부분 (49) 이 Host ID다.
6. 기본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Gateway)는 라우터와 같은 의미이다. 하드웨어 장비라는 개념을 강조할 때 라우터라고 부른다.
라우터는 일종의 인터넷 문지기 같은 느낌이다.
예전에 교수님께서 라우터를 전화교환원에 비유하셨던 것이 생각난다.
전화 이용자 사이에서 오작교 역할을 했던 전화교환원처럼 라우터도 서로 다른 LAN의 호스트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이해했다.
노트북의 IP주소는 172.x.1.49 이고
기본 게이트웨이의 IP주소는 172.x.1.254이다.
서브넷마스크를 대입해보면 두 주소의 Network ID가 동일하다.
위와 같이 Network ID를 공유하는 영역을 LAN(Local Area Network) 영역이라고 한다.
여기서 Network ID와 Host ID의 역할을 알 수 있다.
Network ID는 거대한 인터넷 세상에서 자신의 LAN영역을 식별하고
Host ID는 자신의 LAN영역 내에서 각각의 호스트를 식별한다.
실제 통신에서 사용되는 예를 정리해보자
만약 출발지 IP와 목적지 IP의 Network ID가 동일하다면?
송수신 PC가 모두 같은 LAN에 속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 스위칭(Switching) 발생
만약 Network ID가 상이하다면?
송수신 PC는 서로 다른 LAN영역에 있으므로 -> 라우팅(Routing) 발생
'ComputerScience > Network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에 대하여(2) - DNS 동작원리 (0) | 2022.03.30 |
---|---|
DNS에 대하여(1) - displaydns, flushdns 명령 (0) | 2022.03.30 |
ARP 캐시 테이블에 대하여 (0) | 2022.03.29 |
DHCP, DNS, Physical Address - ipconfig/all 명령 (0) | 2022.03.29 |
싱글톤 패턴 Singleton Pattern - 디자인패턴 (0) | 2021.07.04 |